- 시점인증 & 진본인증
-
진본인증
(진본여부확인)시점인증
(한국표준시)
시점인증서비스 이용 안내
서비스 개요
-
- 목적 및 필요성
- 국가연구개발 정보가 기록된 각 종 전자(화)문서가 객관성과 신뢰성을 인정받기 위해
공신력을 갖춘 기관의 시점인증을 받을 필요가 있음
-
- 서비스 대상
-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하는 연구기관*(또는 연구기관 소속 연구자)
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률‘ 제6조 제1항에 의한 연구기관(민간 기업은 비대상)
서비스 내용
- 전자 연구노트의 기록일시와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행정안전부(전자문서진본확인센터)의 타임스탬프 연계 제공
- 타임스탬프란?
- 타임스탬프란 전자문서의 생성시점(존재증명) 및 진본성확인(위변조검증)을 공개키기반(PKI : Public Key Infrastructure)의 국제 표준기술로 전자문서가 특정시각에 존재하고 있었음을 증명하는 동시에 그 시각 이후로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았음을 증명하는 전자적 기술입니다.

구분 | 원형타입 | 사각형타입 | 설명 |
---|---|---|---|
진본 | ![]() |
![]() |
문서가 위,변조 되지 않은 진본문서 |
변조 | ![]() |
![]() |
타임스탬프 발급 후 문서가 위,변조되었음 |
인증서 검증실패 | ![]() |
![]() |
인증서 유효기간 만료 또는 실효됨 |
미검증 | ![]() |
![]() |
검증 S/W 미설치로 검증되지 않음 |
서비스 흐름도
-
- ① 연구노트 작성
- 연구기관 내 구축된 전자 연구노트 시스템을 활용하여 연구자가 연구노트를 작성(연구자 서명 추가)
-
- ② 서비스 대상
- 연구기관 내 구축된 전자 연구노트 시스템을 활용하여 확인자가 연구노트를 점검(확인자 서명 추가)
-
- ③ 시점인증 요청
- 점검된 연구노트에 시점인증 정보를 넣기 위해 연구노트 파일의 해시값(Hash-value)을 포함한 시점인증 정보 요청 메시지를 한국특허전략개발원(연구노트확산지원본부)의 시점인증 연계서버에 전송
-
- ④ 시점인증 요청
- 연구기관의 전자 연구노트 시스템을 통해서 받은 시점인증 정보 요청 메시지를 행정안전부(전자문서진본확인센터)로 전송
-
- ⑤ 시점정보 제공
- 행정안전부(전자문서진본확인센터)에서 시점인증 정보를 한국특허전략개발원(연구노트확산지원본부)의 시점인증 연계서버로 전송
-
- ⑥ 시점정보 제공
- 시점인증 정보를 연구기관의 전자 연구노트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작성된 연구노트에 시점인증 제공
- 해시 값(Hash-value)란?
- 전자문서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전자값(문서내의 유일한 값)입니다. 같은 데이터로부터 반드시 같은 결과가 나오나 정보가 조금만 변경되어도 전혀 다른 값이 나오게 됩니다.